깊히 고민한 생각들,
짧게 지나가는 생각들...

전체보기 25

인생이 망한것 같을 때

인생이 망한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나도 그래봤고, 그대도 그런 기분이 들었던 적이 있거나, 지금 그런 상황일 것이다. 이럴때 중요한것은 뒤를 돌아보는 것이다.그동한 인생 망한것 같은 기분이 든 적이 이번 한 번 이던가?잘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그동안 크고 작은 문제들은 숱하게 많이 있었고,간절하게 기도하며 이를 해결해달라고 기도한적도 많을 것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기억도 희미해질 정도로 의미가 없어졌거나,기억도 나지 않거나,막상 지나보니 아무일도 아니었거나,어찌저찌 해결되었을 것이다. 사실 우리가 겪는 문제의 대다수는 우리 인생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소수의 문제는 우리 인생에 영향을 미치긴 하지만,그 또한 지나갈 뿐이고, 사실 그 문제가 우리 인생의 전부는 아닐것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마음을 지키기... 그리고 자유 의지에 대한 고촬

ㅇ 좋은 마음을 품고 살아가자. 같은 사람이라도 좋은 마음을 품고있을때와 나쁜 마음을 품고있을때 완전 다른 사람이 된다. 사람의 마음은 물과 같다. 그 마음이 어떤것을 품느냐가 중요하다. 물에 꿀을 타면 꿀물이고, 더러운 것이 타면 구정물이 된다. 사실 환경은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동일한 현상에서 좋은 마음을 품은 사람과 나쁜 마음을 품은 사람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다르다. 결과적으로 어떤 마음을 품느냐에 따라 다른말, 다른 생각, 다른 행동을 하게 되고 인생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다. 인간은 모두 어떤것이 좋은 마음이지, 나쁜 마음인지 알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굳이 성경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하나님은 모든 사람에게 양심을 주셨다. 성경에서 말하는 마음을 지키라는 것은 어쩌면 이것을 말하는 것일 수..

신앙, 철학 2021.08.22

부채는 사라지지 않는다ㅡ 다만 옮겨다닐 뿐.

https://youtu.be/2Vd5bXq8y_I 원래 미국 정부가 채권을 발행해서 푼 돈이 중국의 생산설비 증설로 이어지고 중국의 기업부채 증가로 옮겨가야했었는데 바이든이 buy america를 외치며 중국의 생산설비 증가를 유도하지 않으니 중국도 기업 파산/구조조정으로 대응하고있는것 더 깊이있는 해석 필요 ㅇ 내가 들고 있는 돈은 누군가의 대출로 발생한 것. 내 계좌의 돈이 누군가의 대출금이었다는 것은 조금 소름이 끼친다. 돈이란 빚이다. 연준에게 은행이 대출을 해주고 은행은 민간에 대출을 해준다. 통화의 발행 자체가 대출을 통해 이뤄진다.

경기 회복기에서 중앙은행의 과열 조정. feat 오건영 부부장님

2021.02.29 결론 1. 경기회복장에서 자산시장의 버블은 단기 기준금리를 조정하여 브레이크를 밟는다. 2. 이러한 이유는 신용(대출)의 확장이 자산시장으로 들어가 버블을 키우길 원치 않기 때문이다. 3. 단기금리를 확대하여 주식시장이 충격을 받아 깊고 짧은 단기적 조정(1일~3일)이 발생하면 국장의 경우 오후2시에 신용매수 물량의 반대매매 물량이 쏟아진다. 4. 한국은행 총재가 이른바 '빚투' 하지 말라고 구두경고 하였는데, 이렇게 단기금리를 올려 시장에 충격을 주는것은 강제로 신용매수물량을 반대매매로 털어내는 효과가 있다. 5. 경기회복기의 조정은 깊지만 짧다. 중앙은행과 정부가 원하는 것은 완만한 인플레이션, 완만한 자산시장(주식시장)의 상승세이다. 조정이 더 길어지면 시장의 상승추세를 꺾을 수..

2021년 투자 포트폴리오

내년 포트폴리오 20.12.15기준 1. 친환경섹터(30%) - 한 : 한화솔루션, 신성이엔지, 씨에스윈드, 삼강엠엔티 - 미 : TAN, ICLN, FAN - 중 : Global x china clean energy - 근거 : 파리기후협정 미 가입, 미중관계악화로 인한 중국의 에너지자립, 한국정부 정책자금 2. Big tech (30%) - 한 : 삼성전자, 카카오(재검토중), 네이버(재검토중) - 중 : 기술전쟁 risk로 안살거임 - 미 : MSFT, APPL, GOOG, AMZN. (facebook은 독과점risk로 제외) - 아이디어 : 주가가 올랐지만, EPS(주당순이익)이 늘었기때문에 버블이라고 볼 수 없다. 3. 기술혁신 (30%) - 미 : 테슬라, 우버★ - 아이디어 : 테슬라는 사실..